우리나라 전래 동화 중 ‘청개구리’ 이야기가 있다. 동화 속 청개구리는 엄마가 시키는 것은 뭐든 반대로 하고, 하지 말란 것은 곧 죽어도 하고야 만다. 동화 속 청개구리의 성정 때문에 우리는 흔히 반항적인 기질이 다분한 사람을 청개구리에 빗대어 표현한다. 요즘에는 기존의 틀이나 주류 문화의 흐름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독창적인 세계를 만들어 가는 사람들을 일컫는 긍정적인 용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어렸을 때, 엄마한테 야단맞을 때마다 꼭 듣던 말이 있다.
“너는 하지 말라는데, 왜 더 하니?”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아마도 아이가 있는 사람은 어렸을 때 부모에게 들었던 이 말을 똑같이 반복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어느 정도 나이가 들었을 때, 문득 궁금했다. 그러게. 사람들은 왜 하지 말라면 더 할까. 별로 하고 싶지 않았는데, 하지 말라고 한 순간 왜 하고 싶어질까. 선악과는 왜 매혹적일까. 금기된 것들은 왜 착한 우리를 끌어당기고, 그 안에 도사리고 있는 것들이 결코 선하지 않다는 걸 알면서도 하지 않고는 못 배기게 만들까.
오래전, 이런 사고의 흐름을 궁금해한 사람이 있다. 사회심리학자 ‘다니엘 웨그너(Daniel Wegner)’다.

이미지 출처 : Wegner 의 Social Psychology Network
‘생각하지 말라’의 반동 작용
1987년, 당시 하버드 대학교의 심리학과 교수였던 다니엘 웨그너는 대학생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사고의 억압이 우리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했다. 다니엘 웨그너는 A 그룹에게는 “흰곰을 생각하라” 지시했고, B 그룹에게는 “흰곰을 생각하지 말라” 지시했다. 실험 참가자들은 지시사항에 관한 사고의 빈도수를 체크할 수 있도록 흰곰이 떠오를 때마다 자신의 앞에 놓인 종을 치기로 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A 그룹이 B 그룹보다 흰곰 생각을 적게 할 것이라 생각했지만, 정작 종을 더 많이 친 것은 B 그룹이었다. B 그룹 참가자들은 일상적인 대화 속을 자꾸만 비집고 들어오는 정체불명의 흰곰 생각 때문에 A 그룹보다 훨씬 더 많이 종을 쳐야 했다.
‘웨그너의 흰곰 실험’으로 불리는 이 실험은 우리가 스스로 사고를 억제할 때, 오히려 그것에 대한 생각을 더 많이 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심리학 용어로 ‘흰곰 효과’ 또는 ‘반동 작용’이라고 부른다.
반동 작용은 일종의 방어기제로, 금지된 충동을 억제하기 위해 정반대의 태도와 행동으로 억제된 욕망을 표출하는 행위 전체를 일컫는다. 엄마가 산으로 가라고 하면 산에 가지 않고, 바다에 가지 말라고 하면 바다에 간 청개구리의 행동은 전형적인 반동 작용이라 볼 수 있겠다. 하지만 무조건 반대로 행동한다고 해서 그것을 반동 작용이라 볼 순 없다. 다른 측면에서 본다면 청개구리의 행동은 항상 자신의 욕구를 억제하는 엄마를 골탕 먹이기 위한 의도적인 작전일 수도 있고, 일종의 변덕일 수도 있다.
욕구과 억제의 균형
‘아빠, 어디가’, ‘슈퍼맨이 돌아왔다.’같은 예능 프로그램을 보면 아빠들이 몰래카메라를 하는 장면을 볼 수 있는데, 몰래카메라 내용은 대개 아빠가 금지 사항으로 정한 것을 아이가 혼자 있는 시간 동안 얼마나 잘 이행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아빠는 테이블 위에 맛있는 과자를 놓아두고 아빠가 오기 전까지 절대 과자를 먹지 말라 지시한다. 나는 몰래카메라를 빙자한 얼토당토 않은 실험을 볼 때마다 실험의 목적이 부모의 말에 대한 아이의 충성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인지 아니면 고작 일곱 살 남짓의 아이가 반동 작용에 대한 욕구를 얼마나 성숙하게 조절하는 지 알아보기 위한 것인지 궁금해진다. 아빠가 테이블 위에 맛있는 과자를 놓아둔 순간, 아이는 있는 줄도 몰랐던 과자에 대해 끊임없이 의식해야 하고, 다른 활동을 하는 순간에도 과자 생각을 지울 수 없게 된다.
다니엘 웨그너는 이 같은 매커니즘에 대해 “비정상적인 집착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아차리면 경각심이 생긴다. 그래서 더 열심히 억제하려고 한다. 이리하여 억제와 집착의 새로운 주기가 시작된다. 결국에는 병적인 집착을 낳는다.”고 말했다.
우리의 머릿속에서 욕구와 억제는 적당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시소로 비유하자면 수평 상태인 셈이다. 이 수평 상태를 우리는 항상성이라고 부른다. 항상성은 우리가 특정한 무언가를 지나칠 만큼 탐닉하거나 혹은 지나칠 만큼 억제하지 않도록 도와주고, 그렇게 함으로서 일상생활을 조화롭게 만든다. 이때, 억제 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타인의 시선일 수도 있고, ‘~하지 마라.’와 같은 단순한 말일 수도 있고, 자기 자신의 지나친 검열일 수도 있다. 무엇이 됐든 우리의 뇌 속에 억제를 일으키는 요소가 쌓이고 쌓이다 보면 시소는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우리 뇌는 우리로 하여금 보정적 변화를 요구하는데, 억제의 시기가 길면 길수록 보정적 변화에 대한 욕구 역시 그에 비례하여 커진다. 문제는 보정적 변화가 건강한 방식으로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일상 속 반동 작용
일상에서 가장 흔히 찾아볼 수 있는 보정적 변화는 다이어트로 인한 폭식이다. 체중을 감량하기 위해 무조건 굶기를 택했던 사람은 금식에 대한 보정적 변화로 필요 이상의 폭식을 하게 된다. 반동 작용은 다이어트뿐만 아니라 모든 영역에 관여한다. 일시적인 처벌로 폭력성을 억압받은 학생은 더 큰 폭력을 휘두르게 되고, 자살 방지를 위해 마표대교 난간마다 새겨 놓은 자살 방지 메시지는 오히려 이듬해 자살 통계를 높이는 데 일조했다.
‘실수하면 안 돼.’라고 생각하는 순간, 사람은 실수한다. 늘 긴장 상태에 놓여 있어 실수가 잦은 사람이야말로 사실 누구보다 잘 하고 싶어 하는 사람이다. 이런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지적과 자책도 아니고, 더 많은 노력도 아니다. 정말 필요한 것은 실수를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그로 인한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수많은 욕구 리스트 중 ‘실수하지 않기’를 과감히 지워버려야 한다. 그래야 반대쪽에 있는 ‘실수하면 안 돼.’ 리스트도 삭제될 것이고, 실수라는 이름의 흰곰은 유유히 자리를 떠날 것이다.
억압된 것들은 반복적으로 회귀한다. – 지그문트 프로이트
누구나 머릿속에 한 마리의 거대한 흰곰을 가지고 있다. 누군가에게는 흰곰이 짝사랑하는 상대일 수도 있고, 누군가에게는 과거의 실패일 수도 있다. 또 누군가에게는 지금 해선 안 될 무언가일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흰곰을 억지로 해치거나 죽이려 드는 것이 아니라, 흰곰이 자유롭게 뛰어놀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고 관조의 자세로 그것을 지켜보는 것이다. 그럴 때, 우리는 조금이나마 우리를 괴롭히던 사고로부터 자유워질 수 있다.
콘텐타
콘텐츠 마케팅의 힘든 과제 중 하나는 다양하고 수준 높은 콘텐츠를 꾸준히 만들어 내는 일입니다. 이제 브랜드 블로그나 매거진, 기사, 기고문, 보도자료 등의 콘텐츠 제작을 온라인에서 전문작가에게 아웃소싱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콘텐츠를 직접 분야별 전문 작가에게 개별 주문하거나, 콘텐츠 마케팅 컨설팅을 의뢰하세요.
12